본문 바로가기

건강

조류인플루엔자 포유류 감염 급증… 사람 감염까지?

반응형

 

최근 남미에서 조류에만 발병되는 바이러스(AI)가 바다표범까지 번져 사망하는 일까지 생기고 있으며 캄보디아에서는 11세 소녀가 H5N1형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사망하는 등 AI 감염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

 

조류인플루엔자란?

야생에 사는 오리나 기러기 등의 조류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해마다 조류끼리의 전염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발병 시 중증도에 따라 고병원성 인플루엔자(HPAI)와 저병원성 인플루엔자(LPAI)로 종류가 나누어집니다. 전문가들은 빠른 전파 속도로 전염을 일으키는 일부 HPAI를 굉장히 문제 삼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는 질병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져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 가금류에 종간감염을 일으켜 폐사에 대해 문제를 많이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조류의 기도 위쪽에 세포 표면에서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합니다. 포유류에서는 수용체가 거의 없어 지금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었지만 바이러스의 급격한 변이적 특성으로 최근에는 포유류에 감염되도록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사례

1900년대 초 이탈리아에서 최초의 감염 보고가 일어났으며 2005년 철새로까지 감염되면서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이후 조류 인플루엔자는 가금류 산업에 큰 위협을 주고 있으며 유럽 및 북미, 아시아에 타격을 주어 최근에는 남미까지 퍼져서 범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는 79개국에서 202110월부터 2022120일까지 가금류에서는 5602건 야생조류에서는 4271건의 조류가 감염되었다고 발표하였고 포유류에서는 수달, 여우, 곰 등에서 총 119건이 발생되었습니다.

 

이후 사람에게 까지 발생된 사례도 있으며 21년도에 중국에 사는 41살 남성이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10N3 바이러스 감염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최근에는 올해 216일 캄보디아에 농촌 소녀가 AI 감염으로 증상을 앓기 시작해 고열 및 인후통에 시달리다가 사망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181월부터 20224월까지 132명이 감염되었고 22명이 사망되었다.

 

 

 

조류독감 H5N1 감염예방

 

조류인플루엔자 H5N1

15가지의 조류 인플루엔자 중 H5형과 H7형이 유행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H5N1 바이러스는 다른 종의 동물에 감염된 바이러스에서 유전자를 쉽게 받아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병원성이 다른 바이러스보다  병원성이 강해서 사람에게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이전에 1997년 홍콩과 2004년 베트남 및 태국에서 증례가 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H5N1 인체 감염경로 및 증상

감염된 가금류(, 오리, 칠면조 등)와의 접촉이나 감염 조류의 배설물에 오염된 사물과의 접촉을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우 드물게 조류와 사람 간의 전파사례는 보고되어 왔으나 사람 간 전파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감염 증상으로는 결막염, 발열, 인후통, 근육통으로 계절 인플루엔자와 유사하며 무증상부터 중증까지 정도는 다릅니다. 이 외에 급성호흡부전, 폐렴 등 호흡기 증상이나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 및 신경적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평균 잠복기는 2일에서 최대 10일이며,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 항원에 의하여 병원성이 결정됩니다.

 

1997년 홍콩에서 환자들이 발열, 인후통, 잦은 기침이 발생하였고 심한 경우 호흡곤란 증세가 있어 사망으로 진행하였다. 항바이러스제로 예방과 치료를 진행해 보았지만 효과는 있으나 한계적이었고 새로운 돌연변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어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는 기간도 필요하기 때문에 대비책으로 미리 사전 예방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사람의 조류인플레자 감염이 위험한가? 

앞서 팬데믹 증상으로는 발현되지 않지만 AI의 산발적인 발생과 해외 바이러스의 유입 위험성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AI 인체감염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H5N1는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사례도 있으며 팬데믹으로 발생되는 인체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인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위생관리, 살처분 참여 인력의 항바이러스제 투여 등 예방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